오늘의 포스팅은 생물학 2편으로 찾아왔습니다..
오늘은 생물학의 3장~4장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것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세포주기
정상적인 세포주기 : ( M G1 - S - G2 - M )
감수성이 높은 순서 : ( M - G2 - S - G1 - M)
종에 따라 방사선 감수성의 순서 : (포유류 > 조류 > 어류 > 양서류 > 곤충)
<아포토시스(apoptosis)>
증식사 : 세포분열하다가 죽은 방식
간기사 : 방사선 조사후 세포분열을 하지 않고 죽는 방식
<방사선 호르미시스>
저선량으로도 인체에 오히려 유익한 효과 있다는 가설
<치료효과 개선비>
< 방사선 감수성 >
LD50(30) → 30일간 50% 치사선량(=반치사선량)
방사선 감수성 ↑ : 방사선 장해 받기 쉽다.
방사선 감수성 ↓ : 방사선 장해 받기 어려움. (= 저항성이 있다.)
아주 어릴 때 , 노년기 때 방사선 감수성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베르고니·트리본드 3대 법칙 >
조직의 재생능력↑ / 세포분열기간↑ / 형태 및 기능적 미분화↑
< 조혈기계 장애에 의한 죽음 > (= 골수증후군)
5Gy이하 조사 시 발생하는 조혈증후군 → (사망 시 : 골수사)
5Gy이하 피폭 시 혈액세포 생산이 중단된다.
< 소화기계 장애에 의한 죽음 > (= 위장관계증후군)
5Gy이상 조사 시 발생하는 위장장해증후군 → (사망 : 피폭 후 2주 내 장관사)
원인 : 소장 – 창자샘세포 재생 정지 및 소장 상피 탈락으로 인해 탈수 및 출혈로 사망
< 중추신경계 장애에 의한 죽음 >
15Gy이상 전신 또는 머리에 일시적 피폭
<분자사>
수십 Gy이상 피폭 시 즉시 사망 – 소멸한다.
<급성 방사선증>
대선량을 단시간 피폭 시 장해가 발생하는 현상
<급성장해 4단계>
(전초기 → 잠복기 → 발병기 → 사망 및 회복기)
전초기(전구기) : 피폭 48시간 이내 증상 발현 Ex) 식욕부진, 구토, 설사
잠복기 : 잠복기 기간은 선량에 의존한다.
발병기 : 전구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 조혈기계, 소화기계,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남.
회복기 : 각종 증상에서 회복된다.
47. 방사선 생물효과의 크기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상대적 생물학적효과비(RBE)의 기준 방사선 에너지는?
① 60Co 감마선 ② 226Ra 알파선 ③ 2 MeV 전자선
④ 100 kV 엑스선 ⑤ 250 kV 엑스선
생물학 1~2장 이론 정리 (0) | 2023.07.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