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T Number >
- 조직에서의 X선속의 상대적 흡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 물을 기준으로 한다.
- 물의 CT Number는 0이고, 공기는 –1000, 뼈는 +1000이다.
조직 | CT Number |
뼈(치밀뼈) | 250이상 |
뼈(해면체) | 130 ± 100 |
갑상샘 | 70 ± 10 |
간 | 50 ± 10 |
근육, 지라 | 45 ± 5 |
이자 | 40 ± 5 |
지방 | -100 ± 10 |
혈액 (일반혈액) | 40 ± 10 |
응고 혈액 | 80 ± 10 |
※ CT 영상표시
1) Window Width : gray scale로 나타낼 수 있는 CT Number을 의미함.
넓은 Width는 낮은 대조도와 조직의 분해능 감소 Ex) Chest, Temporal bone
좁은 Width 설정 시 높은 대조도와 조직의 분해능 증가 Ex) Abdomen
2) Window Level : Window Width의 중앙값
농도, 선 감약계수, 흡수치와 관련 있다.
공기를 잘 보기 위해서는 level을 낮게 설정 / 뼈를 보고자 할 경우 level을 높게 설정한다.
3) Window Setting
※ 병원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검사부위와 Setting 값
검사부위 | Window Width | Window Level |
뇌 (Brain) | 100 | 30 |
관자뼈 (Temporal bone) | 3000 | 300 |
흉부 (Mediastinum) | 400 | 40 |
폐 (Lung) | 1500 | -700 |
복부 (Abdomen) | 400 | 40 |
뼈 (Bone Setting) | 2000 | 200 |
< CT의 3차원 영상기법 >
1) VRT : 해부학적 구조와 유사하게 입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 가능한 3차원 영상기법
2) MPR : Coronal, Sagittal, Oblique plane 등으로 재구성하는 영상기법
- 주변부위 구조물 및 조직들과의 위치 관계를 잘 관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3) CPR : 굴곡이 있는 장기 및 혈관 부위를 자세하게 표현하는 영상기법
- Ex) 대동맥 활(Aortic arch), 이자(Pancreas), 기관(trachea), 심장혈관에 적용됨.
4) MIP : 복셀 중에서 가장 높은 HU값만 선택하여 영상을 만드는 기법
- 주로 혈관부위 관찰 시 많이 적용. / 혈관 및 석회화, 스텐트 위치 등 관찰 시 유용
5) MinIP : 가장 낮은 HU값을 선택하여 영상을 재구성하는 기법
- Air → trachea (기관) 및 water.
< CT 검사 시 적용되는 주요 변수 >
1. 관전압(kV) : X선 투과 강도 + X선 질적요소(에너지)
2. 관전류(mA) : X선관에서 발생하는 선량 / 조사선량을 결정함.
3. 절편두께(Slice thickness) : Z축 분해능에 있어 중요한 변수
4. 검사범위 : 검사 시작부터 끝나는 지점
5. 회전시간 : X선관이 1회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
6.관심영역(FOV)
6-1) SFOV (25 x 25)
- 스캔범위 설정 시 적용되는 범위
작은 SFOV일 경우 → 정보의 손실이 발생
큰 SFOV일 경우 → 산란선에 의해 영상의 질이 저하된다.
6-2) DFOV (14 x 14)
모니터에 영상이 나타나는 범위
DFOV가 작게 할 경우 → 영상이 크게 나타남.
DFOV가 크게 할 경우 → 영상이 작게 나타남.
7. 조영제
주입 속도는 1 ~ 4cc/sec로 조정한다.
8. 재구성 알고리즘
인체 조직의 부위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적용한다.
- HRCT → (Lung / high algorithm)
Brain CT에 관한 이론 (0) | 2023.08.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