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투시조영술 기초 이론학

국가고시 이야기/투시조영술

by bezoxinm 2023. 8. 17. 09:57

본문

728x90

이번 포스팅은 투시조영에 대한 기초 이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너그럽게 봐주시고, 공부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대장조영검사(CCTS)

- 목적 큰창자의 운동기능검사

 

<단일과 다수로 구분>

1) 단일 : 캡슐 1정을 검사전에 섭취하고 5일째 촬영

- 20%미만 정상 / 20% 이상이면 변비

- 피폭이 적은 반면 구획구분을 나뉘지못해 보기 힘듦.

 

2) 다수 : 캡슐 1정을 3일 연속 섭취, 4일째 촬영

- 피폭이 많고, 구획구분으로 영상이 잘 보이며 민감도 우수 장점

  • 구획구분 : sigmoid / desending / asending
  • 골반출구폐쇄 : 역L자모양, 곧창자 구불잘록창자에 분포
  • 대장 무력증 : 전체적으로 고루 분포 / 오름과 내림잘록창자
  • 뒤창자기능장애 : desending / left colon

 

2. 배변조영검사 Defecography (정상 90 ~ 110도)

- 고점도의 황산바륨 사용

- 안정상태, 압박상태, 배변상태, 압착상태

  • 안정: 90도 (85 ~ 140) - 편안한 상태
  • 압착 ; 75 (75 ~ 85) - 항문에 힘줘 배변방지
  • 압박 : 135 (140 ~ 180) - 배변x 아랫배 힘줌
  • 배변 : 110 – 아랫배 힘주고 배설

<과정>

- 촬영대 수직 설치  조영제 및 투시장치 준비  환복 실시  SCOUT -

측방향으로 앉게 후 촬영  배설 상태 관찰  순간촬용 및 비디오로 동적으로 기록

 

3. 정복술 (Reduction)

333 : 3세이하, 1 3분이상, 3회 반복실행 금지

바륨 : 천공의 부작용 큼, 자연낙하방식, 관찰용이

공기 ; 천공의 부작용 적고, 간단하며, 정복율 우수, 관찰이 불가

 

4. Wangensteen  소아 거꾸로 뒤집어 촬영

 

5. 경구담낭조영검사

- GB의 이완 및 수축의 기능관찰이 목적

- 12시간 후 최대농축

- 황달 없는 환자 우선 실시

- 장점은 저렴 및 간단 쓸개의 기능 진단용이/ 단점은 폐쇄로 인한 조영효과 없어 다른검사 실시

 

6. 경정맥성 담도 조영검사 (IVC)

- GB의 이완 및 수축의 기능관찰이 목적

- 30, 45분 최대 농축

- 장점은 쓸개의 기능 진단 / 단점 요오드 과민반응을 환자에게 실시X

 

7. 점적주입담도조영검사(DIP)

- 부작용 완화

  • GB의 이완 및 수축의 기능관찰 및 간 기능의 장해를 관찰

8. 경피경간담도조영검사(PTC)

- 폐쇄 및 폐쇄부 관찰

- Chiba needle로 직접 천자 : 제 늑간 7 ~ 9늑간 (S6)

- 선명한 영상 획득이 장점이지만 감염 및 부작용이 있는 단점

- PTBD와 연계하여 사용 단독 사용 불가

- 쓸개관이 잘 나타나지 않아 사용

- 천자부위 소독 및 국소마취 실시

 

9. 내시경적역행성담도,췌관 조영검사 (ERCP)

- 카테타 삽입

- 샘창자 유두부 및 이자관머리 관찰

- 중재적 시술 전 단계 검사

- 내시경은 큰 유두에 Cannula 위치

- 한번에 관찰이 용이하고 선명한 영상 획득. 고통과 감염이 있다.

- 유두부 협착 및 기능 의심 시 지연촬영 45분 실시

- 이자관  온쓸개관  온간관  좌우간관

 

10. 수술중(OPC)

- 청결유지 및 감염예방

- 결석 제거시 Oddi 조임근 기능

- 티 튜브 설치 - 수술중

 

11. 수술후(T-tube)

- T-tube에 조영제를 주입

- 수술후 7-8일 경과 후 실시

- 6시간이상 금식 / T-tube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

- 목적 : 수술 성공여부 확인. 결석을 추후 제거에 대비

 

12.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 (EST)

- 절개도 11 ~ 1

- 목적: 유두부 확장 / 쓸개관 제거 및 ERBD전 통로 확보

- 당김형을 많이 사용

- 절개의 길이 : 10mm내외

- 후처치 : 수술후 24시간 금식  출혈방지

 

<결석제거술>

 

1. 작은 결석술

  • 10mm내외
  • basket와 ballon 카테타 사용으로 결석 제거
  • Scout – ERCP – EST – removal - basket와 사용으로 결석 제거
  • 제거 못한 결석은 ballon 카테타로 제거

2. 큰 결석

  • 10mm이상 분쇄하여 배출
  • 기계적 쇄석술 (MCL)
  • 강도가 높은 basket으로 결석을 제거
  • 금속성 외피를 씌워 조작이 가능

 

13. 담도경

- 내시경

- PTBD와 수술을 통해 tract 확보

- MCL보다 효과적인 치료가능

- 미세한 구경으로 병변의 진단 및 치료가 가능

 

14. 경피경간담도경결석제거술(PTCS)

- PTBD 시행 후 tract 확보 후 tract에 따라 가이드해서 basket  ballon으로 결석을 제거

- 간내 결석 제거에 용이 결석 및 협착을 동반한 간의 쓸개관 결석제거

 

15. 경피경간담낭경결석 (PTCCS)

- 수술이 불가능 시 GB를 직접 천자하여 tract 확보

 

16. 담즙 배액술(Biliary drainge)

  • 외류법 : 배액도관을 이용하여 체외로 배출 PTBD ENBD
  • 내류법 : 스텐트와 카테타를 통해 배출 ERBD

 

투시관련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참고하면 됩니다! 공부를 할땐 이론과 문제를 병행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1년 국가고시 문제 해설 - 투시편

오늘의 국가고시 문제풀이는 투시조영술에 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다소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혼자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부터 21년 국가고시 문제풀이를 시작

radiology-student.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