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국시에서 다수 출제되는 초음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초음파는 방사선응용에서 10문제 / 실기에 5문제로 15문제는 적지 않는 문제이지만 많은 학생들이 포기하는 과목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 부분을 좀 줄여주고자 하는 마음으로 초음파 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한 것을 공유하고자 한다.
< 음향변수 >
- 음의 전파에 양적 변화요인
< 변화요인 인자 >
⓵ 압력 / ⓶ 밀도 / ⓷ 온도 / ⓸ 입자운동
< 전파속도 >
음이 매질 내에서 이동하는 속도
- 매질에 의해 결정
- 밀도에 반비례
- 경도와 체적탄성률에 비례
※ 매질의 상태 : 기체 < 액체 < 고체
⦁ 연부조직의 평균음속 ➜ 1540 m/s
< 진폭과 강도 >
진폭(A)
음파의 정상치 기준 최대 증가 및 감소 값
강도(I)
음속의 면적에 대한 출력
단위 : W/cm2
진폭의 제곱에 비례
음파의 형태
⦁종파 : 매질 내 입자의 움직임이 음의 전달 방향과 같은 형태 (= 초음파)
⦁횡파 : 매질 내 입자의 움직임이 음의 전달 방향과 수직인 상태 (= 기타줄)
※ 초음파 : 종파이자 기계적 인파
⦁ 초음파의 매질의 상호작용 : 반사, 산란, 굴절, 흡수
< 반사 >
음향저항을 가진 매질이 경계면에서
음파의 일부는 투과, 일부는 반사가 된다.
⦁ 반사크기 : 매질의 음향저항과 초음파의 입사각도에 영향
⦁ 음파의 입사각에 따라 강도가 다르다. ➜ (수직일수록 강한 반사체를 가진다.)
⦁ 지방간 : 지방입자에 의해 경계면이 증가
- 반사가 많아짐(에코가 증가 / 감쇠가 심함)
< 젤(Gel) >
- 피부표면에 바르는 물질
- 탐촉자 표면과 피부 사이의 공기층을 제거
- 반사를 줄이기 위함
< 산란 >
반사면이 요철 상태일 시 초음파가 사방으로 흩어지는 현상
산란체가 작고, 주파수가 높을 시 발생
주파수의 44 제곱에 비례
반사체가 아주 작을 때 : Rayleight 산란
< 굴절 >
매질의 경계면에 수직이 아닌 사 방향
입사와 두 매질의 밀도 차이에 의한 음속 전파 속도가 다를 때 발생
⦁ Snell’s 법칙 : 굴절각 계산
⦁ 측방음영(lateral shadow)
흡수
초음파가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
주파수에 비례
연부조직에서 가장 큰 요인
투과심도(반감두께)
- 원래의 강도가 50%로 감소하는 매질의 깊이
- 연부조직의 투과심도 = 3 / 주파수(Mhz)
< 감쇠 >
음파가 매질을 통과할 시 진폭과 강도가 감소 (= 음의 에너지 손실)
초음파 탐촉자의 특성
압전물질
전기적 에너지 <-> 초음파에너지
수정, 로셀염, 니오브산
최근 압전세라믹 PZT (유전율)
※ 압전효과
- 기계적 변화를 가하면 전기적 신호 발생
⦁역압전효과
- 전기적 신호를 주면 기계적 성질 발생
< 탐촉자 >
⓵ 흡입층
- 압전물질의 후방에 위치하여 펄스의 사이클 수를 감소
- 축 분해능을 개선!!
⓶ 결합층
- 압전물질 앞에 피부와의 음향 임피던스 차를 감소하여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목적을 가짐.
- 거리 분해능 (= 공간펄스길이 / 2)
< 큐리온도 >
- 압전물질에 일정한 온도를 가하면 압전효과의 성질을 상실하는 온도
< 공진주파수 >
- 초음파의 최대민감도를 가지는 주파수로 압전물질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고유주파수
- 일반적으로 파장의 1/2이다.
- 압전물질의 두께가 얇을수록 좋다.
Q – factor(품질계수) : 대역폭 중에서 필요하는 주파수의 비율
⦁대역폭 : 초음파 펄스에 포함된 주파수 범위
★ Q – factor = 공진주파수 / 주파수대역폭 ★
높은 Q - factor | 낮은 Q - factor |
주파수 대역폭이 좁은 펄스 발생 |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펄스 발생 |
음의 지속성이 길다 | 음의 지속성이 짧다 |
발신(송신) 효율이 좋다 | 수신효율이 좋다 |
치료용으로 적합 | 진단용으로 적합 |
순수한 음역이 크다. | 공간펄스길이가 짧다. |
축 분해능이 향상된다. |
< 충격계수(DF) >
- 실제로 초음파 펄스가 작동하는 시간의 비율
- 충격계수 : 0.1 ~ 1%
- 연속파 : 1 / 펄스파 : 0.01
초음파 분해능
⦁ 공간분해능 : 근거리의 물체를 감별할 수 있는 능력
⦁축 분해능(Axial) / 측 분해능(lateral)
축(거리) 분해능 - Axial : 초음파 음속의 같은 진행방향
< 개선 방법 >
공간펄스길이가 짧을수록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사이클 수가 감소할수록 : 댐핑층 증가
2. 측 분해능 – lateral : 초음파 빔의 진행방향에 수직
- Probe의 직경과 빔의 폭에 영향받음
- 초음파 음을 집속으로 개선
- 초점영역이 가장 좋다.
초음파 음장(beam field)
⓵ 근거리 영역
- 한 점으로부터 좁아지는 부분까지의 거리
음의 강도가 높게 나타는 영역
⓶ 원거리 영역
초음파의 선속이 확산되어 나가는 영역
음의 강도가 낮아 수신효율이 나쁨.
< 초음파 영상 표시방법 >
1. 진폭 ➜ (A – Mode)
- 반사파의 강도를 진폭의 크기로 표시
- 안구 및 뇌파 검사에 이용
2. 밝기 ➜ (B – Mode)
- 반사파의 강도를 휘도로 나타나는 표시
- 회색조로 표시
3. 움직임 ➜ (M – Mode)
- 움직이는 반사체의 거리를 시간적 변화 표시
- 심장의 운동상태 검사에 효과적
4. 도플러 ➜ (D – Mode)
- 도플러를 이용하여 혈류속도 및 방향을 측정
- 혈관 검사에 이용
5. 색도플러 ➜ (CFM – Mode)
- 혈액방향 및 속도 등을 칼라로 영상표시
- 혈관 검사에 이용
6. 출력도플러 ➜ ( PD – Mode)
- 혈류의 민감성이 우수(작은 혈관( 및 느린 혈관))
- 혈류 검사에 이용
< 초음파 진단장치의 조절 >
⓵ 수신 강도 조절 (Overall gain)
- 전체적인 수신된 약한 반사 음의 신호를 증폭
⓶ 시간 – 수신음 강도보상 조절 (TGC)
- 먼 거리 반사체에 의한 반사신호는 가까운 거리의 신호보단 약하기 때문에 어두운 영상을 획득한다.
- 보정 : 동일한 반사신호를 획득
⓷ 동적영역(DR) 조절
에코 강도의 범위를 지정해 주는 장치
- 증가 시 ➜ 부드러운 영상(대조도 감소)
- 감소 시 ➜ 거친 영상(대조도 증가)
복조(demodulation)
- 증폭된 반사음을 각 반사체마다 하나의 단일 Pulse로 표현
반사 신호 모양을 단순화시키는 전기적 처리과정
제파(reject)
- 낮은 전기적 잡음과 낮은 진폭 신호를 제거
< 펄스도플러 >
- 하나의 압전물이 송⦁수신을 겸한다.
- 음파의 짧은 펄스를 사용
- 일반적으로 임상 염상검사에 사용
-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다.
- 반접(에일리어싱)(에일리어싱) 현상 발생
< 연속 도플러 >
- 두 개의 압전물질이 있어 송⦁수신이 별개로 사용
- 치료 및 혈류도플러 검사에 사용
- 빠른 혈류측정에 효과적
- 반접(에일리어싱)
-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못하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에 이론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모두 국시를 위해서 최선을 다해 노력합시다!! 모두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