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h. 9장 - 특수치료 및 최신치료

국가고시 이야기/치료학

by bezoxinm 2023. 11. 28. 17:17

본문

728x90

< 전신 방사선 조사 (TBI) >

목적 : 골수 이식 전 면역력 및 저항력을 억제 시키기 위해 실시함.

(새로운 골수 이식 후 발생할 수 있는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서)

대표적인 질병은 백혈병, 재생불량진혈, 다발성 골수종 등

<특징>

고 에너지 X선 이용

저 선량률 폐의 장해를 적게 하기 위해

SAD(3 ~ 5m)

보통 12회 치료를 실시

 

< 조직 보상필터 >

부위별로 두께 차이가 발생하므로 균등한 선량분포를 만드는 방법

재질은 주로 알루미늄, 구리, 납 등을 사용함.

 

 

< 산란판 >

표면선량(피부선량, 피부 혈액선량)을 증가 시키기 위함.

1 ~ 2cm 아크릴로 제작 산란선 발생

환자에게 밀착 시킨다. 피부 표면선량을 높이기 위함.

 

< 전신피부 전자선 조사 (TSEI or TSEB) >

피부질환에 적용되는 조사방법

대표적인 질환 : 균상식육종과 피부림프종 등이 있다.

<특징>

고 선량률 사용

2 ~ 9MeV 전자선 사용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신체의 손·발톱, 수정체가 있는 안구는 차페

(방사선이 안들어가는 두정부, 음낭안쪽, 발바닥, 유방 밑부분, 회음부 같은 부위는 추가 조사를 실시함.)

4. 스탠포드법 자세

5. 보상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6. 산란판을 사용한다.

 

 

< 강도변조 방사선치료(IMRT) >

- 원리 : 한 조사를 여러 개를 만들어 조사하는 방식

<특징>

1. 요즘 치료의 70~80%

2. MLC가 움직이면서 쏘는 것은 IMRT

3. MLC가 고정된 상태로 쏘는 것은 3D-CRT

4. MLC 사용

5. CT영상을 이용

6. 3D-CRT와 비교 시 정상 조직에 대한 선량은 더 줄일 수 있다(종양의 형태에 맞춰 조사하기 때문이다.)

 

IMRT 치료계획 방식은 두가지로 구분된다.

 

순방향 치료계획 : 사람이 직접 인자들을 대입하여 세우는 계획하는 방법

역방향 치료계획 : 컴퓨터에 여러 인자들을 입력하면 컴퓨터가 여러 변수를 고려하여 원하는 선량분포를 형성할 수 있또록 치료계획 제시하는 방법

 

< 선형가속 갠트리가 회전하며 조사하는 IMRT >

 

1. 강도변조 회전 방사선치료(IMAT)

겐트리가 원호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방사선 조사 시 MLC도 같이 움직인다.

게속 겐트리가 회전하면서 IMRT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량변조 선량분포를 다르게 조절이 가능 / 한 조사야에 여러개의 단위로 쪼개어 조사를 한다.

정밀 치료가 가능 / 정상조직을 보호(=최적화) / 동시통합조사 가능(SIB)

 

2. 용적 강도변조 회전방사선치료(VMAT)

- 360° 겐트리가 회전하면서 IMRT를 하는 방식

 

 

< 정위적 방사선 치료 >

 

1. 정위적방사선수술(SRS) : 치료를 위한 총선량을 한번에 모두 조사하는 방법

원형 콘을 사용함.

-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SRS

Ex) 머리

 

2. 분할정위적방사선치료(FSRT) : 여러 번 나누어 분할조사하는 방법

- 평균 5회정도 실시함.

 

Body (SBRT) Ex) Lung / Liver

 

< 감마 나이프 > 감마선 이용 / 헬멧을 이용한 병소를 집중치료 하는 방법

 

1. 초기모델 : 60 - Co 선원 201 장착. / 반구형 형태 / 헬멧모양 / 머리를 넣고 치료.

2. Perfexion :  60 - Co 선원 192개 장착 하고 헬멧형 콜리메이터 사용 안함.

- IGRT 안됨 영상획득(X)

- 마스크틀로 스크류 한 뒤에 치료를 실시한다.

 

< 영상유도 방사선치료(IGRT) >

목적 : 타깃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계획된 선량을 타깃에 정확히 전달하여 방사선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모의치료와 찍은 영상 동일 시 하기 위해 오차 범위만큼 조절해주는 기능 (테이블 이동)

영상을 가지고 환자를 잘 맞추는 것 (OBI IGRT 위치교정)

넓은 의미 : 진단 및 치료과정에서 획득된 모든 영상자료를 방사선 치료에 활용

좁은 의미 : 환자의 자세 및 위치를 교정

 

< 4DRT > (= RGRT : 호흡연동 방사선 치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양과 정상조직 위치 or 형태가 변화 되는 것을 고려하여 정확한 선량 전달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

조사야를 적절한 크기로 줄여 4차원 방사선 조사 되도록 설정

호흡의 주기 PTV를 줄이기 위해 (= 조사야 감소 부작용 감소)

 

< 양성자치료(Proton Terapy) >

수소원자핵을 가속하여 이를 이용하는 치료

     ↳ (사이클로트론 / 싱크로트론을 이용)

- 이온원 : 수소원자

 

<Bragg Peak 특징>

체내에서 에너지 흡수가 최대로 도달 깊이 바로 전에 발생

정상조직에서의 에너지 흡수는 X선을 이용한 방사선보다 현저히 저하된다.

 

< 양성자 치료설비의 구성 >

1. 가속부 / 2. 빔 전송부 / 3. 치료실 / 4. 조정실로 구성되어 있다.

 

1. 가속부

- 사이클로트론과 싱크로트론을 이용

- 수소원자를 이온원에서 가속을 시킨다.

- 최대 에너지 50 ~ 250MeV

 

2. 빔 전송부 : 편향자석을 이용

 

3. 치료실 : 환자에게 방사선 조사 : 노즐(Nozzle) / 노즐의 끝 부분 : 스나우트(Snout)

- 노즐 : X선 튜브(확인촬영), 콜리메이터, 조사면

- 범위변환기 : 종양의 두께에 적합하게 넓은 브래그 피크

- 차폐체 : 황동에 소량의 납을 혼합 (X선 차폐 : 차폐블럭, MLC)

- 범위보상체 : PMMA 이용, 보루스(bolus) / 양성자의 비정이 종양과 일치하도록 하는 장치

 

< SOBP(Spread Out Bragg Peak) >

- 일정한 범위의 균일한 선량 평탄부를 가진 브래그 피크가 만들어 지는 것

- SOBP를 만들기 위해 회전방식의 범위변조기와 SOBP의 길이에 따라라 선택하여 장착하는 Ridge filter 방식의 범위변조기를 사용

- 모두 낮은 원자번호의 물질을 사용.

 

< 단층방사선치료(TomoTherapy) >

- CT와 비슷하게 생긴 나선형 강도변조기 방사선치료 전용

< 특징 >

- 단일 6MV X선 사용 치료용

- MVCT 촬영 (3.5Mv)

- 영상추적 방사선 치료(IGRT)

- 360° 나선형 치료

- Binary MLC를 이용한 IMRT(세기변조 방사선 치료)

- flattering filter 사용 하지 않는다. 선속이 짧기 때문에

- 종양의 크기와 수에 제한 받지 않고 흩어져 있는 암까지 동시에 치료가 가능

 

정재파형 사용 / IMRT 가능 MLC가 있으므로 / 전자선 X

(소형인 장점. / 마이크로트론 출력 저하)

 

< 사이버나이프(Cyber Knife) > (아주 작은 종양을 치료하는데 사용)

로봇팔에 소형 선형가속기를 장착한 장치

< 특징 >

1. flattering filter 사용하지 않는다.

2. 6MV 단일 X

3. 6개의 관절축의 로봇팔

4. 여러 사이즈의 원형 조리개 사용

5. 병변에 표지물 삽입하지 않는다. 방사선 수술장비(뇌종양, Liver)

6. Non-isocentric technique

7. 영상 추적 방사선치료(IGRT)

8. 호흡 추적장치(RGRT) / 9. 역방향의 치료계획(IMRT)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