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고시 문제풀이

21년 국가고시 문제 해설 - 투시편

bezoxinm 2023. 8. 7. 16:04
728x90

오늘의 국가고시 문제풀이는 투시조영술에 대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다소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혼자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부터 21년 국가고시 문제풀이를 시작합니다!!
 
21. 이중조영검사를 하는 것은?
① 척수강조영검사
② 쓸개관조영검사
③ 눈물샘조영검사
십이지장조영검사
⑤ 자궁난관조영검사
 
④ 십이지장조영검사
-> 이중조영 검사 : 황산바륨+공기(발포제) / 점막의 미세병변 관찰
식도 이중조영 / 위장 조영(UGIS) 등 미세병변을 관찰할 때 사용.
척수강 / 쓸개관 / 눈물샘 / 자궁난관은 목적이 다름. *주로 위/장관계.
 
22. 작은창자에서 막힌(obstruction) 부위의 위치와 범위를 확인
하고 장내 가스 압력을 줄이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법은?
① 경구법(oral method)
경튜브법(M-A tube method)
③ 매직틸트법(magic tilt method)
④ 캡슐내시경(capsule endoscopy)
⑤ 변형경구법(modified oral method)
 
② 경튜브법(M-A tube method)
* 소장(작은창자) 조영 검사 : 조영제 - 저농도
CMC 용액 사용 - 꿈틀운동 촉진.

  • 고위관장법(Enteroclysis) -> 천공/협착환자는XXX / 셀링크튜브 주입.
  • 경튜브법(MA tube) -> 작은창자 폐색(막힘)환자 - 공기가 뭉쳐 있음.
  • Gastrografin (요오드 수용성 조영제) 사용.

23. 큰창자의 운동 기능을 평가하는 기본적인 검사로 만성 특발성
변비, 만성 기능성 변비, 과민성 큰창자 증후군 등의 진단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검사는?
① 대장정복술
② 배변조영술
③ 고위관장법
④ 대장조영검사
대장통과시간측정검사
 
대장통과시간측정검사
*변비 유형을 알아보는 대장통과시간 측정검사

표지자단일다수
캡슐 복용1회 복용3일간 연속 복용
촬영5일 후24시간 되는 4일째 촬영
특징변비유형 알기 어려움구획 구분 가능,
피폭/비용↑

단일 vs 다수표지자 문제가 주로 출제.

   
대장무력증
(서행성 변비)
뒤창자 기능장애골반출구 폐쇄
전체적으로 분포좌측 큰창자에 몰려있음골반에 집중됨.
대다수 변비 유형.
대장무력증 영상
뒤창자 기능장애 영상
 
골반출구 폐쇄 영상

24. 수술 중 담도조영검사(담관조영검사, 담관조영술)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① 쓸개암 진단
② 쓸개의 기능 확인
③ 쓸개즙 배액 확인
④ 쓸개관 스텐트 설치
쓸개관 내 잔류 결석 확인
 
⑤ 쓸개관 내 잔류 결석 확인
- 수술 중 담도조영검사 (OPC) = 쓸개관내 잔류 결석 여부와 쓸개관 이상 유무 확인.
향후 관찰 필요 시, T-tube 삽입.

(T-Tube cholangiography)
 

수술 후 담도조영검사 (T-Tube cholangiography) *Tubography 아님!!!
수술 후 7~8 경과 후 T-tube에 조영제를 주입하며 관찰하는 검사.
NPO 6시간↑ / 샘창자로 쓸개즙이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함.
 
25. 역행성 검사에 해당하는 것은?
방광조영술
② 경정맥신우조영술
③ 경정맥요로조영술
④ 점적주입신우조영술
⑤ 신속정맥주사신우조영술
 
① 방광조영술
아래에 있는 장기일수록 역행성(주장법 - 요도/항문으로 삽입) 이용.
이름에 경/정맥 or 신우조영술은 경/정맥을 통해 조영제를 주입한다.
->신우조영술은 콩팥/비뇨기계의 기능/형태 관찰이 목적일 경우가 많으며
역행성 신우조영검사(RGP)는 기능을 알 수 없다.
 
26. 침샘조영술(sialograph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처치는 4시간 전 금식
② 배출 검사를 위해 조영제 추가 주입
③ 턱밑샘에 가장 많은 양의 조영제 주입
④ 연부조직 농도가 보이지 않도록 영상 처리
sialo needle로 수용성요오드조영제를 주입
 
⑤ sialo needle로 수용성요오드조영제를 주입
-> · 지연검사 실시.
지연검사는 sialography / salpingography (자궁관 폐쇄에 의한 불임 확인)
지연검사 시 조영제 대신 신 음식 섭취 후 지연촬영.
· 침샘 중 가장 큰 샘 = 귀밑샘.
· 전처치 필요X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