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고시 이야기/의료영상정보

특성곡선에 대한 이야기!

bezoxinm 2023. 7. 18. 15:35
728x90

이번 포스팅은 특성곡선(H-D 곡선)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려고 한다.

 

감도 측정법 : 감광재료를 노출하고 현상처리 할 경우 노출량과 사진농도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구하는 방법

 

<감도측정법의 이용과 과정>

 

1) 감도측정법의 용도

필름의 사진특성 측정

현상처리조건의 성능 측정

자동현상기의 처리성능 측정

증감지의 감도측정

 

2) 감도측정법의 과정

노출

현상처리

농도 측정

특성곡선 작성

 
특성곡선 :  가로축에 log E(노광량)의 상용 대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에 D(사진의 농도)를 가지고 그래프화 시킨 것을 의미한다.

 

특성곡선의 그래프

1. 족부 : 사진농도가 가장 낮은 부위

 

2. 직선부 :노광량 적정부위(농도가 증가하는 부위) / 노광량 대수치와 사진농도가 비례

 

3. 견부 : 어깨부 / 노광량의 과도부분 / 사진농도의 최대값을 지니고 있다.

 

4. 반전부 : 노광량 증가에 따른 사진농도가 감소하는 부위

 

2) 특성곡선의 특성치

감도, 대조도, 감마, 평균계조도, 최고농도, 노출관용도 + 최저농도

 

감도 농도

감도 : Base + fog + 1.0의 농도를 얻는데 필요한 노광량의 역수

진단유효농도범위 : ( 0.25 ~ 0.2 ) 거의 중간정도

비감도 구하는 공식

 

- A : 기준 필름 감도 / B : 상대 필름 감도 / SR : 비감도

 

 

대조도 감마치, 평균계조도

X선 영상에서 농도가 다른 두 부분의 농도 차이

 

감마

감마치 : 적정노광부(직선부위)의 경사도

직선부가 횡축을 이루는 각도 : tangent

직선부의 기울기가 클 때 높은 대조도를 형성 / 작을 시 낮은 대조도 형성

 

- 필름의 종류와 현상조건 : 현상온도, 현상액의 종류, 현상시간 등

 

평균계조도

fog + 0.25 점과 fog + 2.0의 점을 연결한 직선의 경사도

 
제가 굵게 표시한 부분은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표시해 놨으며, 시험 공부를 비롯하여 국시에도 도움이 될꺼라 생각합니다!!

다들 공부 화이팅!!

 

다음편은 현상주약과 정착주약에 대한 이야기로 다시 찾아올께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