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hapter 8. 역학의 이야기

국가고시 이야기/공중 보건학

by bezoxinm 2023. 7. 25. 17:02

본문

728x90

8역학

 

역학의 정의 : Epidemiology의 번역

인간사회의 집단을 대상

그 속에서 질병의 발생, 분포 및 경향과 양상이 명백

그 원인을 탐구하는 학문

 

역학의 궁극적 목적 : 질병 발생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기 위함.

 

2. 역학의 역할

질병의 발생 원인 규명의 역할

질병의 발생 및 유행의 감시 역할

질병의 자연사 연구 역할

보건의료서비스 연구에 대한 역할

임상 분야에 대한 역할

 

질병 발생의 다인설

1. 삼각형 모형설 / 2. 원인망 모형설(거미줄 모형설) / 3. 바퀴 모형설

질병 유행의 발생기전 3가지 각각의 특징을 알 것!!

 

1) 삼각형 모형설 : 3대 모형설

병인, 숙주, 환경의 세 가지 요인의 상호관계 / 감염병의 질환

 

2) 원인망 모형설 : 거미줄 모형설

질병의 발생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고, 그 질병의 발생과 관계되는 모든 요소들끼리 서로 연결되어 발생. - 비감염병 질환의 발생

 

3) 바퀴 모형설(=수레바퀴)

- 숙주를 중심으로 숙주의 내적요인인 유전적 소인과 숙주의 외적 요인인 환경, 즉 생물학적, 물리화학적, 사회적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학설

- 유전성 질환의 경우 : 유전적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역학적 연구방법

실험과 관찰로 나누어진다.

실험 연구방법은 이론상으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나 인간을 대상으로하는 역학에서는 이 실험 방법을 적용하는데 제한적인 범위만 적용된다.

관찰적인 방법 : 기술역학 과 분석역학이 있다.

 

< 관찰적 방법 >

기술역학(=1단계 역학)

분석역학(=2단계 역학) : 단면적 연구 / 환자 대조군 연구 / 코호트 연구

이론역학(=3단계 역학)

 

- 실험적 방법 : 임상실험 / 제약적이다.

 

기술역학 : 사실적으로 기술하는 방법 (6하원칙)

누구한테 발생하는가? 인구학적 특성 (who)

어디서 발생하는가? 지역적 특성 (where)

언제 발생하는가? 시간적 특성 (when)

무슨 질병이 발생하는가? 질병의 종류 (what)

 

2) 지역적 특성

범세계적(pandemic) : 두 국가 이상에서 유행하는 질환 Ex) 독감, AIDS, Covid 19

전국적(epidemic) : 한 국가에서 전반적으로 유행 Ex) 장티푸스

지방적(endemic) : 낙동강 유역에서 많이 발생 Ex) 간흡충증

산발적(sporadic) : 일부 한정된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 Ex) 렙토스피라증

 

3) 시간적 특성

추세변화 : 어떤 질병이 수 십년간 관찰하였을 때 증가 혹은 감소의 경향을 보여주는 것

Ex) 장티푸스(30-40년 주기), 디프테리아(10~24), 인플루엔자(30)

주기변화 : 수년의 간격으로 질병이 발생이 반복되는 경우

Ex) 일본뇌염,유행성 이하선염(3~4), 백일해(2~4), 홍역(2~3)

계절변화 : 여름철은 주로 소화기계 감염병 / 겨울철은 호흡기계 질병

불규칙 변화 : 외래감염병이 국내에 돌발적으로 유행하는 경우 Ex) 콜레라

 

2. 분석역학 : 원인을 규명, 가설을 설정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

 

1) 단면적 연구 : 특정시점을 정한 뒤, 질병과 인구집단 간의 관계를 연구

< 장점 >

모집단 적용이 가능하다.

시간과 경비가 절약된다.

경제적이다.

 

< 단점 >

유병율 낮은 질병의 수행률은 어려움

급성,속발성 질병 파악의 어려움

상관관계만 알 수 있을 뿐, 인과관계 규명하지 못함.

 

2) 환자 대조군 연구 (=후향적 연구, 기왕조사, 병력조사)

현재 질병이 있는 집단이 과거에 어떤 속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

비차비를 활용하여 연구를 한다.

a : 폭로군 질병 O , b : 질병 X , c : 폭로군 질병 O , d : 질병 X

 

< 장점 >

1. 코호트에 비해 경제적이다.

2. 시간성 효율성이 좋다.

3. 희귀질환에 적합하다.

4. 빠른 시간 내에 연구결과를 알 수 있다.

5. 비용이 적고, 적은 연구 대상이 가능하다.

 

< 단점 >

1.대조군 선정이 어려움 / 2. 각종 편견이 발생 가능함. / 3. 비차비에 의한 간접비교만을 할 수 있다.

 

3) 코호트 연구 (=전향성 연구) 건강한사람을 대상으로 함.

건강한 집단에서 속성의 차이가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질병 발생을 향후 판단 하는 것

 

장점 : 질병의 위험률을 직접 구할 수 있다. 여러 질병을 동시에 조사 가능

여러 가지 가설을 검증 가능 신뢰성이 높은 자료 획득 가능

 

단점 :시간, 노력 및 비용이 많이 든다. 연구 대상자가 그 사실을 알게 되어 조사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 대상자가 사망하거나 이동하는 등 탈락 될 수 있다.

 

연구결과 분석

비교 위험도 : 질병 발생률 또는 위험도로 나눈 것

비교위험도에 관한 공식

기여 위험도 : 비노출된 집단에서의 질병 발생률을 뺀 것

기여 위험도에 관한 공식

 

3. 실험 역학 : 질병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역학

- 위약 투여법을 사용

 

4. 이론 역학 : 감염병의 발생 모델과 유행현상을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유행법칙이나 현상을 수식화하는 3단계 역학

-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예측하는 활용하는 방법

 

역학 연구의 사례

John Snow 콜레라 연구

Glodberger 펠라그라 연구

Doll 흡연과 폐암

728x90

관련글 더보기